CERN에서 미니 블랙홀 실험이 성공했다.
by µµ
어제 CERN의 LHC에서 미니 블랙홀 실험이 성공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가동한지 꽤 지났는데 마침내 성공했네요.
(+) 이번 성공은 정말 물리학 역사상 무척 뜻깊은 것입니다. 결과를 분석하면 암흑물질, 다차원, 초대칭입자 등의 연구에 큰 진전이 있다고 하네요.
by µµ
어제 CERN의 LHC에서 미니 블랙홀 실험이 성공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가동한지 꽤 지났는데 마침내 성공했네요.
(+) 이번 성공은 정말 물리학 역사상 무척 뜻깊은 것입니다. 결과를 분석하면 암흑물질, 다차원, 초대칭입자 등의 연구에 큰 진전이 있다고 하네요.
ㅎㅎ커서 CERN에서 연구하고싶은데 이런 좋은 성과를 거둬
답글삭제연구원이 아닌 저도 기분이 좋군요 ㅎㅎ
이제 한동안 저 실험 데이터에서 노밸상 수상자 많이 쏟아져나오겠죠 ㅎㅎ
답글삭제한 10 년동안 연구비 걱정은 없으렷다!! ( 응? )
여하튼 좋은 소식이네요 ㅎㅎ
저도 CERN에서 연구하고 싶어요.
답글삭제곧 뭔가 큰 발견이 있을 것 같다는 예감이 드네요.
우리도 저 혜택을 받을 수 있을지..ㅎㅎ
답글삭제이제 우주의 비밀이 하나씩 밝혀지기 시작하네요
답글삭제저도 언젠가는 이런곳에서 연구를 하는 연구원이 되겠죠...
기사 댓글 보기가 두렵네요 허허...
답글삭제이유는 아마 아시겠죠 :)
언젠가 그런 날이 오기를 바랍니다.^^
답글삭제그런데 이번에는 생각보다 파장이 크지 않는 듯..ㅎㅎ
답글삭제저 실험은 미니 블랙홀을 만든 실험이 아니고,쿼크-글루온 플라즈마 라고 하는 걸 만든 실험이에요.
답글삭제양성자나 중성자가 쿼크로 이뤄진 건 알고 있지요?
그 쿼크들을 묶어놓는 풀(glue) 같은 입자가 글루온이거든요.
낮은 에너지에서는 쿼크는 세개씩 묶여서 양성자나 중성자를 이루는데,
높은 에너지로 원자핵 두개를 충돌시키면 수많은 쿼크랑 글루온들이 양성자나 중성자를 벗어나서
마치 플라즈마 처럼 많은 입자의 집단이 돌아다니는 상태가 되거든요.
이걸 쿼크-글루온 플라즈마라고 하는 거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