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회사 직원도 모르는 파이어폭스

alt text
fire ie by _escalade328s_ BY-NC-SA

어제 저에게 있었던 일입니다. 제 엄마가 SK브로드밴드로 인터넷을 바꾸면 3개월 무료로 해주고 돈도 준다고 하는 텔레마케팅 전화를 받고 홀딱 넘어가셔서 인터넷을 바꾸기로 했습니다.

조금 있으니 SK브로드밴드에서 한 직원이 왔습니다. 저희집 컴퓨터는 개인별로 계정을 따로 두고 있습니다. 저는 파이어폭스를, 나머지는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기본 브라우저로 두고 있기 때문이죠. 그 직원이 왔을 당시에는 제 계정에 로그인되어 있었습니다. 직원은 제 바탕화면을 보고 좀 당황한 기색이었습니다.
alt text
그림처럼 제 바탕화면은 전부 비어있습니다. 밑에 ObjectDock이 있어서(화면에는 안잡혔습니다.) 바탕화면 아이콘이 필요없고 오히려 거추장스럽기 때문이죠.

직원은 시작 버튼을 누르고(제 시작 버튼은 눈깔모양으로 되있지요. 이렇게 바꾸러면 여기에 들어가보세요) 인터넷을 찾았습니다.
alt text
보시다시피 제 기본 인터넷 브라우저는 파이어폭스로 되어 있지요. 그런데 그 직원이 하는 말이...

얘야, 인터넷 어딨니? 듣기 (전 지금 15살이므로 반말을 했습니다)


전 참 황당했습니다... 저렇게 인터넷이라고 딱 쓰여 있는데... 아무리 우리나라가 인터넷 익스플로러 천국이라고 하지만 인터넷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의 직원이 파이어폭스도 모르다니... 그래서 저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저는 파이어폭스를 쓰고 있어요. 듣기


그랬더니 그 직원이 했던 말은 더 가관이었습니다.

어.. 나는 그런거 몰라. 인터넷은 어디있니? 듣기


저는 '인터넷 여기 있잖아요'라고 말하려다가 그냥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열어주었습니다.

아무리 우리나라가 인터넷 익스플로러 천국이라고 하지만 인터넷 전문 회사의 직원이 파이어폭스도 모른다는 것이 말이 될까요? 이렇게 해서 우리나라가 인터넷 강국이 될 수 있을까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관련 글타래





추가// 제 생각에 찬성하는 사람들도 있고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군요. 전 기사분을 욕하는 것이 아닙니다. 단지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인터넷 익스플로러"라고 생각하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지요.

댓글

  1. http://stringsitsc.tistory.com/197저한테 직접 있었던 일입니다. 인터넷 전문 회사가 파이어폭스도 모르더라구요. 빠르고 편리하고 부가기능도 많은 웹브라우저, 파이어폭스를 사용해보세요.

    답글삭제
  2. 모를 수도 있는일이지요...
    물론 인터넷 전문 회사 직원이지만..

    국내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담당하는 직원이며
    실제로 우리나라 사람들 중 파이어폭스를 사용하는 사람이 얼마나 되겠습니까?

    파이어폭스파이어폭스~ 외치며 파폭을 사용하는 사람들을
    인터넷상에서 글로만 접했지

    여태껏 실제로 파폭을 사용하는 사람은 학교에서도, 직장에서도, 다른 회사 방문했을때에도
    본적이 없습니다. 본적은 커녕 그 이름을 알고 있는 사람도 몇 없더군요.

    글 적으신분 입장에서는 파폭을 사용하시는 분이니 인터넷 회사 직원이 이것두 모르냐?? 하며 무시(?)하는 태도를 보이시지만
    사실 우리나라에서 파폭을 모른다고하여 그런 생각을 가질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답글삭제
  3. 저는 파이어폭스 예찬론자는 아닙니다.
    파이어폭스가 다른 브라우저보다 안좋다는 것이 밝혀지면 언제든지 다른 브라우저로 옮길 수 있지요.
    제가 안타까운 것은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곧 인터넷이라고 생각하는 것이에요.
    조언 감사합니다^^

    답글삭제
  4. 인터넷 가입을위해 해당 통신사홈페이지를 찾아서 고객상담전화를 걸어보면..

    telnet 서비스 돼냐고 물어봐도, 다른사람 전화 넘김넘김 결과로...모르는 서비스다..


    아직 까지는 관련분야에 약간의 지식이 없는 사람도 상담이나 가르치는것도 허용 되는듯 합니다.

    답글삭제
  5. 전에 왔던 KT기사분은...
    시작버튼이랑 작업표시줄 자동숨김 해놨더니..
    "저..이거 맥인가요?...어떻게 쓰죠? "

    답글삭제
  6. 그런 것 같네요.
    댓글 감사합니다.

    답글삭제
  7. ㅋㅋㅋ
    이제보니 파이어폭스를 모르는 것은 별로 큰 일이 아니었네요.:)

    답글삭제
  8. 헐 듣기가 뭔가 싶어서 눌러봤는데 ㅋㅋㅋㅋ
    완전 신기해요 ㅋㅋㅋㅋ
    파폭.. 저도 블로그하면서 사용했네요 ㅋㅋ
    그전에는 딱히 익스로도 부족함을 몰랐거든요 ㅎㅎ

    답글삭제
  9. 대세는 Windows~~~

    창문이여 영원하라

    전세계 점유율 90% 의 윈도우즈

    답글삭제
  10. 위 스트링님 답글 중에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곧 인터넷이라고 생각하는 것"

    저도 주위에서 가장 많이 안타깝게 느끼는 점입니다. IE를 벗어나니까 정말 새로운 인터넷 세계가 펼지더라구요. 사실 IE 가 아닌 다른 웹브라우저 한 번만 써보면 IE 는 정말이지.... 뭐가 좋은건지 특별히 모르겠더라구요... 속도나 기능면에서요...

    답글삭제
  11. 우리나라에서는 딱히 뭐라할 말이 없내요.
    아무리 인터넷 회사 직원이라도 불여우는 생소할수가 있지요.
    어떤 회사에 취직하는냐에 따라 그 회사에서 사용하는 툴이 있기마련이고, 불여우는 개인적으로 사용하지 않는한 모르는 툴이겠죠^^;

    답글삭제
  12. ㅋㅋㅋ 듣기는 ImTranslator라는 사이트를 이용한 것이에요.
    제 생각에는 아직까지는 파폭이 IE보다 좋은것 같아요. 파폭은 부가기능이 많고 빨라요. 파폭이 빠르다는 것은 개인적인 생각이라는 분들도 있지만 저한테는 IE보다 파폭이 빠르더라구요.

    답글삭제
  13. 무슨말???
    왠 Windows.ㅋㅋㅋ

    답글삭제
  14. 맞아요. 사람들이 IE는 곧 인터넷이라고 생각하는것이 많이 안타까웠죠. IE 외의 파폭, 구글 크롬 등을 써보면 지금까지 왜 IE를 썼는지 궁금해지죠. 물론 IE8은 기능과 속도면에서 많이 개선되었어요. 더 큰 문제는 아직까지 IE6을 사용하는 사람들이죠.ㄷㄷ

    답글삭제
  15. 그점이 참 안타깝죠.
    인터넷 회사 직원이 불여우가 생소하다는 것이...

    그래도 제 생각에는 인터넷 회사 직원이라면 인터넷 브라우저의 종류 정도는 알아야 한다고 생각해요...

    댓글 감사합니다^^

    답글삭제
  16. 직원분께서 파이어폭스는 모르는데 , 크롬을 안다에, 한표,,ㅋㅋㅋㅋ

    만약 집에 인터넷 서비스받을일이나, 컴퓨터 수리해야할 필요가 있으면, 그때 꼭 익스 아이콘을 다지우고, 파이어폭스나 크롬을 앞네 내놔야게 겠어요;;ㅎㅎ

    답글삭제
  17. ㅋㅋㅋ
    그러면 한방 먹일수 있겠죠.;)

    답글삭제
  18. 시작버튼과 작업표시줄 안보이고, 바탕화면에 모든 아이콘 없애버리고, 배경도 우주사진 같은걸로 바꿔놨더니 그러더라구요 -_-;

    답글삭제
  19. 본문과는 별도로...ImTranslator 라는 사이트가 재밌군요. ^^

    답글삭제
  20. http://stringsitsc.tistory.com/193
    여기에 제가 이 사이트에 대해 포스팅했어요.
    좋은 하루 되세요^^

    답글삭제
  21. 자세하겐 모르겠지만 인터넷 회사 직원이라는 분들이... IT쪽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을 받았다던가 소양이 있으신 분들을 뽑는게 아닐겁니다. 예전엔 친구 녀석들 한둘인가는 방학을 이용해 학비벌이로 알바를 했다고 한적도 얼핏 들었고요... 하는 일이라는게 전봇대에서 선끌어와서 각 업체 전용 단말기에 붙여주고 인터넷 확인 해주는 일이고 익스플로러(기타 등등의 브라우저가 되야겠지만)로 잘되나 확인해주고 등록해주고 그게 다일테니깐요... 뒤에서 한번 보니 설치 후에 자사 웹사이트로 접속해 이런 저런 설치 보고서? 혹은 등록 등도 하시거 같던데 아마 그 사이트 자체가 엑티브 엑스 똥칠 해둬서 익스플로러만으로 해야 된다 교육받고 아예 다른 브라우저에 대한 인식조차 없으실지도 모르고... 하여간 그럴거 같네요...

    답글삭제
  22. 그런것 같네요...
    그래도 그 회사의 높은 사람들은 교육도 좀 받아서 웹 브라우저에 관해서 알텐데... 왜 그렇게 하는지 모르겠네요..
    요즘은 Active X를 대체할 Java 등의 기술도 많이 나왔는데 굳이 웹표준에 맞지 않는 Active X를 쓰려고 하는지...

    답글삭제
  23. 선깔러 온 기사가 그걸 왜 알아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만?

    답글삭제
  24. 전 선깔러 온 기사를 욕하는 것이 아닙니다.
    인터넷익스플로러=인터넷이라고 아는 사람들이 안타까울 뿐이지요.

    답글삭제
  25. 머.. 일단은 싼 기능직, 양산품 이니깐요.(응?) '파폭 그거 먹는 건가요?' 그럴 수 있습니다. 주위에도 파폭아는 사람은 거의 없더군요. 젊은 사람들이 인터넷 사용이 빈번함에도 컴퓨터 관리나 관심이 너무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컴퓨팅은 이미 생활인데..)

    답글삭제
  26. 블로그 주인장님 나이가 15세인가요? 그래서, '인터넷 회사 직원이 인터넷 브라우저 종류도 다 모르는 게' 이해가 안 가는 거 같네요. ^^

    비유를 들자면 카센타 직원이 이스즈, 스즈키 같은 회사를 모른다고 뭐라고 하는 거랑 다를 게 없거든요. 쉽게 말해서 카센타 직원이라고 외제차, 게다가 우리나라에서 점유율도 형편없는 제품의 브랜드까지 외워야 할 필요는 없는거거든요.

    주인장님처럼 인터넷 브라우저에 관심이 많은 아마츄어, 쉽게 말해서 취미생활로 하는 사람들이 원래 더 잘 아는 법이죠.

    '인터넷 회사 직원이 인터넷 브라우저 종류도 다 모르는 게' 이해가 안 가는 건 주인장님의 편견이 아닐까요?

    답글삭제
  27. 맞아요.
    저도 인터넷 사용이 많으면 그것에 관해서 관심도 있어야 된다고 생각해요.

    답글삭제
  28. http://stringsitsc.tistory.com/193
    여기에 TTS에 관해서 설명해 놓았어요~
    좋은 하루 되세요:)

    답글삭제
  29. 저도 지금 생각하면 편견이라고 생각해요.ㅎㅎ
    이 글을 쓸 당시에는 '약간' 흥분되어 있어서 좀 이해가 안된다는 식으로 쓴 것 같네요.
    조언 감사합니다^^

    답글삭제
  30. ,,,,,퍼가요,,,,,,,,아저씨 워드 자격증은 있어요? (워드 공부하면 불여우랑 네스케이프는 배우니까,,,)

    답글삭제
  31. 모르겠네요...
    그런데 워드 공부하면 불여우 배우나요??
    전 워드 1급까지 땄는데도 안배웠던것 같은데...(<잘난척은 아니에요!)

    답글삭제
  32. 기계적으로 최소한의 AS 방법만 배운 분인가보네요....
    대한민국 현실이 참 안타깝기도 ㅎ

    답글삭제
  33. 그러게 말이에요.. 좀 안타깝죠.

    답글삭제
  34. 글 잘 보았습니다. 주인장님이 15세라 아직 많이 젊으...아니 어리시네요 부럽습니다 ㅎㅎ
    어린 나이에도 파이어폭스를 사랑하는 마음이 있고, 브라우저의 다양성에 대한 생각을 한다는 것은 참 바람직한 모습같습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에게 그런 모습을 기대하기보다는 IE로만 인터넷을 할 수 밖에 없도록 만들어놓은 대한민국 정부와 은행, 관공서와 쇼핑몰을 먼저 비판해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의도적으로 브라우저시장의 주도권을 쥐기위해 고의적인 비표준정책을 취한 MS가 가장 먼저 비판의 대상이 되어야 하는 것이 맞구요. MS가 취한 비표준 정책중에 ActiveX가 가장많이 거론되지만 그 외에도 엔진 내부적으로 엄청난 비표준이 난무합니다. 일반 유저들은 잘 눈치채지 못하는 부분이죠

    그리고 브라우저에 관심이 많다면 브라우저 그 자체보다는 브라우저 엔진에도 한번 관심을 가져보세요, 브라우저는 어쩌면 껍데기이고 핵심은 브라우저의 엔진입니다.

    MS IE는 Trident라는 엔진으로 구현되었으며, FireFox는 Gecko 엔진, Chrome, Safari는 Webkit 엔진, Opera는 Presto 엔진으로 구현이 되었습니다.

    물론 주인장님께서 브라우저에 관심이 많으셔서 이미 다 아시는 내용일지도 모르겠습니다만 말입니다 ^_^

    재미난 글 잘 보고 갑니다.

    답글삭제
  35. 사실 저는 나중에 물리 쪽으로 나가려고 하는데 이렇게 컴퓨터 쪽에 관심이 많아서 되는지 모르겠군요...

    제 생각에도 IE만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놓은 정부와 은행 등을 비판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제 생각에는 그보다 먼저 일반 사람들의 의식이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몇달 전에 그래도 웹표준에 맞는 Internet Explorer 8이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웹표준에 맞지 않는 Internet Explorer 7이나 심지어 IE 6을 쓰고 있으니 말이에요. 만약 사람들이 제대로 인터넷 브라우저에 관한 인식이 생기면 정부도 받아드리게 되겠지요. 만약 정부나 인터넷 쇼핑몰 등이 웹표준을 지켜서 사이트를 만든다고 해도 보통 사람들이 그것에 대한 인식이 없으면 소용이 없잖아요.

    브라우저 엔진에 관해서는 잘 몰랐는데 한번 알아봐야 되겠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삭제
  36. 15세이시면... 중학생이신것 같은데 불여우를 아시다니... ㅎㅎㅎ

    의외로 불여우 쓰는 사람들이 꽤 있을거에요.
    참고로 전 불여우로 갈아탄지 3년 정도 됩니다.
    이젠 익스플로어가 오히려 조금 어색... ㅎㅎㅎ

    모르는 사람을 탓하지 마시고
    차라리 불여우를 홍보해보심이 어떨까요? ^^

    답글삭제
  37. 지금은 그러고 있어요^^
    제 친구들 중에서는 파이어폭스는 쓰는 사람이 없어서 아쉬웠죠.
    지금은 제가 조금 퍼뜨려서 파이어폭스를 쓰는 친구가 한명 늘었어요.

    답글삭제
  38. 확실히 파폭을 써보면 빠르고 좋긴한데 IE에 비해 가끔은 시스템상에서? 더 렉이 걸리는 것 같아요. 혹은 다른 프로그램과의 충돌이라고 해야하나요?
    IE는 다른 프로그램을 켜놨을시 화면전환이 파폭에 비해서 조금 빠른데 파폭은 다른 프로그램 켜놨다가 전환하면 정말 느리더군요..
    인터넷 속도를 위해 메모리를 IE에 비해 조금 더 쓰는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답글삭제
  39. 아마도 부가기능을 너무 많이 설치한 탓이 아닌가 싶어요. 부가기능이 많으면 그만큼 느려져서요. 어느 곳에서 IE와 파이어폭스의 메모리 사용량을 비교했는데 IE가 조금 더 많더군요.

    답글삭제
  40.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인터넷으로 생각하는 분들이 정말 믿기지 않을 정도로 많더군요...
    정말 어떻게 보면 어이없을 정도입니다.
    저도 파이어폭스같은 브라우저를 알기 전까지는 위와 비슷하게 생각해왔지만,
    막상 알고 또 파폭을 애용하다보니 정말... 뭐라 할 말이 없습니다 ㅋㅋㅋ

    답글삭제
  41.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인터넷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대부분인게 현재 한국의 현실이죠.. 빨리 변해야 할텐데..

    답글삭제
  42. IE는 속도면에서는 너무나 큰 쓰레기

    답글삭제
  43. 요즘은 구글 크롬을 사용하고 있어요.
    IE와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빠르죠. :)

    답글삭제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 파동함수와 슈뢰딩거 방정식 :: 양자역학의 기초적인 이론과 컨셉

Python으로 만든 중력 시뮬레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