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014의 게시물 표시

토성 위성인 엔셀라두스에서 거대 바다 발견

이미지
토성 달서 거대 바다 발견…"생명체 가능성 제일 커" 오오오오오오오 토성 위성인 엔셀라두스에서 거대 바다가 발견되었다고 한다. 그것도 메탄이나 에탄 같은 물질로 이루어진 바다가 아니라, 소금물 로 이루어진 바다ㄷㄷ 게다가 각종 무기질도 함유하고 있다고.. 이 바다는 짠 소금물이고 엔셀라두스의 지하 암석 위에 자리 잡은 덕에 인과 황 등 생명체 생존에 필요한 물질을 함유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바다에는 생명체가 살고 있을 확률이 꽤 크다고 한다. 우주과학 전문가인 엔드류 코츠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교수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엔셀라두스는 이제 생명체 존재 추정 차트에서 최상위 자리에 올라섰다"며 "열, 물, 유기물, 화학물질 등 생명체에 필요한 요소를 고루 갖췄다"고 설명했다. 엄청난 발견인 것 같은데 왜 별로 이슈화가 안되는 거지.. [caption id="" align="aligncenter" width="398"] 엔셀라두스 내부의 바다 예상도[/caption]

파이썬의 Lambda 함수와 형식의미론에서의 λ calculus

파이썬(Python)에는 Lambda 함수라는 것이 있는데, 이름이 없고 가리키는 객체만 존재하는 함수를 의미한다. 리턴값을 따로 적어주지 않아도 하나의 리턴값을 돌려준다. Lambda 함수는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 g = lambda x, y : x * y >>> g(2, 3) 6 >>> (lambda x: x * x)(3) 9 한편, 언어학의 한 분야인 형식의미론(Formal Semantics)에는 λ calculus라는 것이 있는데, 문장의 의미 구조를 한 눈에 들어오게 표현하는 기술 방식이다. 예를 들어, Python is cool 이라는 문장은 λ calculus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기술할 수 있다. [λx. x is cool](Python) 형식이 매우 흡사한 것을 볼 수 있다. 변항을 lambda 다음에 넣는 것도 그렇고, 문장 뒤에 변향에 대입할 값을 넣는 것도 그렇고.. 난 λ calculus를 알게 된 시기가 Lambda 함수를 알게 된 시기보다 빨랐는데, Lambda 함수를 처음 알았을 때 꽤 놀랐다. 단순한 우연의 일치일까, 아니면 의도적인 것일까? 신기신기 (+) 나중에 알고 봤더니 λ calculus라는 것이 언어학, 컴퓨터과학 등에 원래부터 널리 쓰이던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