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에 대한 생각
어제 과방에서 한 과학철학에 대한 토론에 이어서 오늘까지 계속 이어진 생각.. 일단 기본 베이스는 존재성을 관측에 의한 것으로 정의한다는 건데, 뭔가 헛점이 매우 많아보인다. 공간이란 무엇인가. 공간에 실존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사실 실존한다는 것은 절대적인 것이 아닐 수도 있다. 실존은 존재하지 않는다. 절대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모든 존재는 관찰자에 의해서 결정된다. 나 자신이 존재하지 않으면 세계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어떤 물체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먼저 나 자신이 존재해야 한다. 관측할 수 없다면 존재와 비존재의 구분이 무의미하다. 그럼 내가 관찰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내가 감각기관을 이용해 관찰한 현상과 실험을 통해 간접적으로 관찰한 현상의 존재성에는 본질적인 차이가 있을까. 없다고 본다. 다만 얼마나 신뢰성이 있냐 그 차이만 있을 뿐이다. 내 관찰도 결국 하나의 실험이다. 예를 들어 시각에 대해서라면, 물체에서 나온 광자를 내가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한 것이다. 그런데 그러면 문제가 생긴다. 내가 관찰하진 않았지만 존재한다고 여겨지는것, 이를테면 세계 반대편의 나와 무관하다고 여겨지는 물체는? 음.. 존재의 정의를 바꾸어야 할 것 같다. 존재란 내가 관찰한 것이 아니라 내가 관찰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말한다. 세계 반대편의 물체는 지금 관찰하지 못했다 하더라도 관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러면 관찰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는 어떻게 판단하는가? 오컴의 면도날로 판단한다. 세계 반대편의 물체는 관찰할 가능성이 있다. 왜냐하면 주변에서 습득할 수 있는 정보들을 바탕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정보들은 물론 틀릴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수많은 문헌들이 그렇게 말한다면 오컴의 면도날을 적용해 내가 그 물체를 관측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 한가지 문제가 있다. 서로 다른 사람이 각각 다른 관측 결과를 내놓으면 존재성을 어떻게 판단할까. 관측 과정에서 오류가 없지 않는 한 각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