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세이건의 '에덴의 용'을 읽고
김ㅇㅁ 선생님! 보름 뒤쯤이면 선생님께서 이 글을 보시고 게시겠죠.(구글에 일일이 검색해 보신다고 하셨으니) 여기는 제 블로그이니 의심하지 않으셔도 됩니다.ㅎㅎ 에덴의 용 - 칼 세이건 지음, 임지원 옮김/사이언스북스 칼 세이건은 저명한 우주물리학자로, <에덴의 용>, <콘택트>, <창백한 푸른 점> 등 많은 저서를 남겼다. 그 중 <에덴의 용>은 퓰리처상을 받을 정도로 과학계에서 명작이라고 불리는 책이다. 워낙 유명한 책이라 전부터 알고 있었는데 이번 기회에 읽어보기로 했다. 이 책은 전반적으로 뇌의 진화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인간의 뇌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지금까지 어떻게 진화되어 왔는지, 다른 동물들의 지능은 어떤지, 꿈의 의미는 무엇인지, 미래에는 인간이 어떻게 발전하여 갈지, 외계인과 어떻게 접촉할지 등에 대해 말해주고 있다. 인간이 지구상에 탄생한 시점은 우주 전체의 역사와 비교해봤을 때 티끌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류는 거대 도시를 세우고, 자연의 이치를 탐구하고, 한 때 두려움의 대상이었던 불과 전기를 이용하고, 심지어 지구를 벗어나려는 노력을 하는 등 눈부시게 발전해왔다. 인간의 이런 성취가 참 경이로운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런 성취는 인간의 뇌가 다른 동물과 대조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는 이 차이가 근본적인 구조상의 이유 때문에 오는 것이라고 한다. 뇌는 크게 R 복합체와 변연계, 신피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언어 활동과 추상적 사고, 기억 등을 담당하고 있는 신피질이 인간에게 크게 발달했다고 한다. 이 부분에서 인상 깊었던 것은 뇌의 정중앙부터 바깥쪽으로 갈수록 R 복합체, 변연계, 신피질이 순서대로 보인다는 것이다. 뇌 가장 바깥쪽에 있는 고작 몇 cm 두께의 신피질이 인간의 특성을 결정한다는 것이 신기했고 왜 이런 특성이 다른 동물에게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지 궁금했다. 읽다 보니 곧 그 답이 나왔는데, 과거에 인간이 어느 정도 지능이 발달한 다른 동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