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011의 게시물 표시

칼 세이건의 '에덴의 용'을 읽고

이미지
김ㅇㅁ 선생님! 보름 뒤쯤이면 선생님께서 이 글을 보시고 게시겠죠.(구글에 일일이 검색해 보신다고 하셨으니) 여기는 제 블로그이니 의심하지 않으셔도 됩니다.ㅎㅎ 에덴의 용 - 칼 세이건 지음, 임지원 옮김/사이언스북스 칼 세이건은 저명한 우주물리학자로, <에덴의 용>, <콘택트>, <창백한 푸른 점> 등 많은 저서를 남겼다. 그 중 <에덴의 용>은 퓰리처상을 받을 정도로 과학계에서 명작이라고 불리는 책이다. 워낙 유명한 책이라 전부터 알고 있었는데 이번 기회에 읽어보기로 했다. 이 책은 전반적으로 뇌의 진화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인간의 뇌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지금까지 어떻게 진화되어 왔는지, 다른 동물들의 지능은 어떤지, 꿈의 의미는 무엇인지, 미래에는 인간이 어떻게 발전하여 갈지, 외계인과 어떻게 접촉할지 등에 대해 말해주고 있다. 인간이 지구상에 탄생한 시점은 우주 전체의 역사와 비교해봤을 때 티끌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류는 거대 도시를 세우고, 자연의 이치를 탐구하고, 한 때 두려움의 대상이었던 불과 전기를 이용하고, 심지어 지구를 벗어나려는 노력을 하는 등 눈부시게 발전해왔다. 인간의 이런 성취가 참 경이로운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런 성취는 인간의 뇌가 다른 동물과 대조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는 이 차이가 근본적인 구조상의 이유 때문에 오는 것이라고 한다. 뇌는 크게 R 복합체와 변연계, 신피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언어 활동과 추상적 사고, 기억 등을 담당하고 있는 신피질이 인간에게 크게 발달했다고 한다. 이 부분에서 인상 깊었던 것은 뇌의 정중앙부터 바깥쪽으로 갈수록 R 복합체, 변연계, 신피질이 순서대로 보인다는 것이다. 뇌 가장 바깥쪽에 있는 고작 몇 cm 두께의 신피질이 인간의 특성을 결정한다는 것이 신기했고 왜 이런 특성이 다른 동물에게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지 궁금했다. 읽다 보니 곧 그 답이 나왔는데, 과거에 인간이 어느 정도 지능이 발달한 다른 동물을...

물리학 연구원

물리학연구원 핵심능력 공간·시각능력,창의력,수리·논리력 유사직업명 물리학자, 광물리학자, 핵물리학자, 원자물리학자, 입자물리학자, 고체물리학자, 생체물리학자 특성 - 물리학연구원은 자연계에 나타나는 모든 현상을 지배하는 기본법칙을 규명하여 자연현상을 합리적으로 설명ㆍ예측하려 하며 물리학적 원리와 기법을 산업, 의료, 군사 분야 등에 응용하기 위한 연구를 한다. - 물질의 구조와 이들의 운동, 전기나 빛 등 다양한 에너지의 발생과 이동, 물질과 에너지의 상호 관계에 대한 연구와 실험, 실험결과의 분석으로 기본적 원리들을 밝혀낸다. - 다양한 물리학적 기본 원리들을 적용하여 재료, 전기, 자기, 광학, 의료, 음향, 빛 등 일생 생활에서 사람의 생활을 편리하게 하는 기구 개발에 대한 연구를 실시한다. - 핵물리, 원자물리, 입자물리, 고체물리, 광물리, 생체물리 등의 분야로 세분화 되며, 가장 근본적인 원리와 논리적인 사고에 입각하여 자연현상을 합리적으로 연구하고 예측한다. - 물질의 구조적 특성, 에너지의 변환 및 전달을 연구하며, 물질과 에너지와의 관계 및 기타 물리학적 현상을 관찰,실험한다. - 분자증폭기(maser), 레이저(raser), 원자핵파괴장치(cyclotron), 전자가속장치(betatron), 망원경, 질량분석기, 전자현미경 등의 장비를 사용한다. - 고형물질의 구조와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온도, 압력, 응력 등의 환경조건을 변화시켜 실험,시험하고 반응을 연구,분석한다. 적성 및 흥미 - 수학, 물리, 화학과 같은 자연과학에 대한 흥미와 소질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새로운 것에 대한 탐구정신과 호기심, 창의성과 문제해결을 위한 논리적 사고, 분석력, 그리고 정확한 판단력이 요구된다. - 실험실에서의 장시간 동안 실험하고 분석할 수 있는 체력과 끈기, 인내심이 있어야 하며, 물리학 연구 보고서와 논문을 작성할 수 있는 논리적 언어표현능력과 문서작성능력이 요구된다. - 물리학 연구에서 사용되는 분자 증폭기, 레이저, 전자가속장치, 망원경 등과 같은...

[TED] 스스로를 교육하는 법에 대한 새로운 실험

좋은 TED 영상 하나 발견했습니다. 교육 환경이 열약한 곳에서 아이들이 어떻게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험을 한 교육학자가 했는데 결과가 놀랍네요.

“카이스트 숨막히는 공부경쟁제도에 숨통 트이길”

http://scienceon.hani.co.kr/archives/17776 내후년 쯤에는 괜찮아지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