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 존재에 대한 내 생각 ; 오컴의 면도날에 대해서
기본적으로 신의 존재 유무는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 즉, 신이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다고 100% 확신을 가지고 말할 수 없는 것이다. 리처드 도킨스나 나를 비롯한 대부분의 무신론자들은 이 사실을 알고 있고, 신이 없다고 100% 확신하는 것을 지양하고 있다. 그러면 무신론자와 순수 불가지론자의 차이가 무엇일까? 그것은 결론의 차이다. 순수 불가지론자와 무신론자는 대부분 다음과 같은 사고를 한다. 순수 불가지론자 : 신의 존재 유무는 증명되지 않았어. 신의 존재 유무는 앞으로도 영원히 증명할 수 없을거야. 따라서 인간은 신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없어. 무신론이나 유신론의 입장을 갖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야. 무신론자 : 신의 존재 유무는 증명되지 않았어. 하지만 신이 존재한다는 증거는 전혀 없어. 또한, 세상은 마치 신이 없는 것처럼 자연법칙에 따라 흘러가고 있어. 따라서, 신이 존재한다는 확실한 증거가 나오기 전까지는 그것이 없다고 잠정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 여기에서 우리는 신에 대한 근본적인 사고방식의 차이를 알 수 있다. 순수 불가지론자는 인간이 신에 대해서 판단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반면, 무신론자는 잠정적으로 없다고 판단한다. 나는 무신론자이므로 후자를 좀더 보충해 보겠다. 신이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지 명확히 판단할 수단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잠정적으로 그것이 없다고 판단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그것은 ' 오컴의 면도날 '의 원리에 따른 것이다. 오컴의 면도날 이란 같은 현상을 설명하는 두 가지 주장이 있을 때 더 간단한 것이 더 타당하다 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서, 길거리에 알루미늄 캔이 하나 굴러다니고 있다고 해보자. 두 사람이 이것을 다른 방법으로 설명하고 있다. 첫번째 사람은 '지나가던 사람이 음료수를 다 마시고 나서 캔을 버리고 갔다.'라고 추론한다. 두번째 사람은 '투명 드래곤이 초능력을 발휘해 캔을 창조해서 그 곳에 놓고 갔다.'라고 추론한다. 무엇이 더 타당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