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010의 게시물 표시

네 자리 단위로 콤마를 쓰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다

이미지
132,500,000,000 이 숫자를 보자마자 바로 읽으실 수 있나요? 숫자 감각이 무척 뛰어나지 않는 이상 대다수의 한국인들은 그러지 못할 것입니다. 비효율적인 3자리 단위로 콤마 쓰기 하지만 이 숫자를 영어 원어민은 어떻게 읽을까요? 그들 중 대부분은 이 숫자를 보자마자 바로 ‘one hundred thirty two billion five hundred thousand’이라고 읽습니다. 그 비결이 무엇일까요? 영어를 어느 정도 공부하셨던 분이라면 알 것입니다. 그들은 콤마 를 이용해 읽습니다. 위 숫자에는 콤마가 3개가 있으므로 가장 큰 단위가 billion이라는 것을 바로 알 수 있습니다. 영어에서는 숫자 3개 단위로 끊어 읽기 때문에 이런 방법이 가능한 것입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우리나라에서는 통하지 않습니다. 한국어에서는 숫자 4개 단위로 끊어 읽기 때문이죠. 때문에 세 숫자 단위로 콤마를 써도 바로 읽지 못하고 “일, 십, 백, 천, 만…”하면서 손가락으로 셈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얼마나 비효율적인 방식인가요? 또한 세 자리 단위로 콤마를 쓰는 것은 숫자를 쓰는 데도 불편합니다. 뒤부터 거꾸로 올라가면서 쓰든지, ‘일십백천만…’하고 읽으면서 쓰고 나중에 한꺼번에 콤마를 쓰든지 하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이런 단점 때문에 저를 비롯한 몇몇 사람들은 4자리 단위로 콤마를 쓰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합니다. 4자리 단위로 콤마를 쓰면 위 숫자를 다음과 같이 한번에 읽을 수가 있습니다. 네 자리 단위로 콤마를 쓰면 1325억이라고 바로 읽을 수가 있습니다. 이 방법이 익숙하지 않은 분들이 많겠지만 콤마가 1개 있으면 만, 2개 있으면 억, 3개 있으면 조라는 사실만 기억하고 있으면 실생활에서 만날 수 있는 대부분의 숫자들은 바로 읽고 쓸 수 있습니다. 다른 예를 들어보면, 1543조 1352억 1534을 쓴다고 해봅시다. 기존의 세자리 콤마 방법으로 하면 ‘154,313,521,534’로 한국어 숫자 표기 방법과 전혀 상관 없는 표기법이 되어 버...

빅터 J. 스텐저 - 물리학의 세계에 신의 공간은 없다

이미지
물리학의 세계에 신의 공간은 없다 - 빅터 J. 스텐저 지음, 김미선 옮김/서커스 다윈이 생물학이라는 오랜 서식지로부터 신을 몰아내자, 쫓겨난 신은 물리학이라는 토끼 굴로 허둥지둥 피신했다. 그들은 우주의 법칙과 상수들은 사실이기엔 지나치게 훌륭하며, 생명이 진화하도록 세심하게 조율된 계획의 산물이라고 주장한다. 우리에게는 그 망상을 파헤쳐 줄 훌륭한 물리학자가 필요했고, 빅터 스텐저가 그 일을 완성했다. – 리처드 도킨스 이제까지 무신론과 유신론은 생물학에서 대결을 펼쳐왔습니다. 이 책은 그 범위를 물리학까지 넓힌 책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리처드 도킨스의 『만들어진 신』 을 읽으면서 진화론은 맞다고 확신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아직 많은 사람들은 의문이 남아 있을 것입니다. 우주의 탄생, 생명체가 탄생하기 위한 완벽한 물리상수 등등.. 이런 물리 · 천문학적 부분들은 만들어진 신에서 잘 설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 ‘물리학의 세계에 신의 공간은 없다’는 거의 완벽한 책입니다. 이 책에서는 우주의 탄생과 같이 창조론자들이 ‘신이 존재하는 증거다’라고 주장하는 부분을 최신 물리학을 이용해 설명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주가 탄생할 때 물질은 어떻게 만들어졌냐?’라는 질문에는 ‘우주에서는 물질이 탄생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이다’[footnote]p.167 [/footnote]라고 답하고, ‘각종 물리 법칙들은 어디에서 왔느냐?’라는 질문에는 ‘몇몇 기본 법칙들은 무(無)의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 이미 증명되었고 나머지 법칙, 이론들도 활발히 연구하고 있다’[footnote]p.163 [/footnote]라고 답합니다. 물론 타당한 물리학적 · 천문학적 이유를 대구요. 이 외에도 창조론자들이 ‘신이 있다’고 주장하는 근거에 대해서 많은 부분을 과학적으로 반박합니다. 마지막에는 ‘데이터에 맞지 않는 신의 목록’[footnote] p. 282 [/footnote]을 만들어 현재의 물리학적, 생물학적,...